• 제목: 목격자
  • 개봉일:2018년 08월 15일
  • 장르: 스릴러
  • 감독: 조규장
  • 출연자: 이성민(상훈 역), 김상호(재엽 역, 경찰), 진경(수진 역), 곽시양(태호 역, 살인자 역)

 

살인사건을 목격한 후 삶이 위협당하고 있다

어스름이 짙게 깔린 새벽, 술에 취해 집에 들어온 주인공 상훈(이성민)은 베란다 창문을 통해 아파트 주차장 근처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을 목격하게 됩니다. 순간 자신의 집 거실에 불이 켜져 있다는 것을 인지한 상훈(이성민)은 재빠르게 거실 불을 끕니다. 갑자기 불이 꺼지자 이상하게 여겼는지 살인자가 아파트를 올려다보고 자신의 집을 보며 손가락으로 몇 층인지 세더니 아파트로 들어갑니다. 놀란 상훈(이성민)은 재빨리 현관문을 잠그고 야구방망이를 가슴에 꼭 안은채 현관문 앞을 지킵니다. 식은땀이 비 오듯 쏟아지고 숨이 가빠지는 상훈은 그 길로 자신의 집으로 쳐들어오는 살인자 꿈을 몇 번 꾼 뒤 아침을 맞이합니다. 잠에서 깬 상훈(이성민)은 소란스러운 소리에 밖을 내다봅니다. 오늘 새벽에 일어난 살인사건으로 경찰들과 구급차 아파트 주민들이 나와 한창 혼란스러운 가운데 상훈(이성민)의 부인이 다가와 살인사건이 일어난 거 같다며 나가보겠다고 합니다. 상훈(이성민)은 필요 이상으로 짜증을 내며 이 일에 절대 관심을 두지 말라고 합니다. 살인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꼬치꼬치 물어오는 형사 재엽(김상호)에게 상훈(이성민)은 자신은 아무것도 모른다며 물어보지 말라고 하고 서둘러 떠납니다. 상훈(이성민)은 자신이 사건을 목격했기 때문에 살인자가 자신과 가족에게 해를 끼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한편, 아파트 주민들은 이번 살인사건이 뉴스에 나오진 않을까 걱정합니다. 살인사건이 난 아파트라는 것이 알려지면 집값이 떨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훈(이성민)은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아파트 주민을 보게 되는데, 그 아파트 주민은 자신이 목격을 했다며 같이 경찰에 가서 자백을 하자고 합니다. 상훈은 자신을 모르는 일이라고 뿌리치고 그 목격자임을 자백하려던 여성은 누군가에 의해 살해된 채로 발견됩니다. 살인자가 이 아파트를 계속 맴돌며 목격자들을 주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상훈(이성민)은 점점 두려워집니다.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비가 주룩주룩 오던 어느 날 살인자가 딸과 부인만 있는 자신의 집에 쳐들어왔고 부인과 아이는 필사적으로 1층으로 도망칩니다. 살인자가 부인과 아이를 흉기로 내리칠려던 차 수리공들과 다른 주민들에게 발각되어 아파트 뒤 뒷산으로 줄행랑을 칩니다. 상훈(이성민)은 부인에게 금방 오겠다며 살인자를 쫓아 산으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살인자와의 몸싸움이 벌어집니다. 그리고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일어나고 상훈(이성민)은 산사태에 휩쓸리다 기절을 하게 됩니다. 눈을 뜬 상훈(이성민) 앞에 믿지 못할 일이 발생합니다. 흙에 파묻힌 시체들이 산에 즐비해 있는 것입니다. 즉 이 살인자가 이 아파트와 마을을 맴돌며 그동안 많은 사람들을 죽였던 것입니다. 상훈(이성민)은 그를 죽이고 가족들과 함께 그 아파트를 떠납니다. 

 

 

 

지역이기주의와 방관자 효과

심리학 용어로 방관자 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었는데 아파트에서 그 살인사건을 목격한 사람이 몇십 명이나 있었는데 서로 누군가 신고하겠지 미루다 아무도 신고를 하지 않아 피해자가 죽은 사건입니다. 영화 "목격자" 또한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방관자 효과라는 용어가 생기게 된 그 아파트 사람들도 살인을 목격했다는 사실에 보복을 당할까 두렵고 그 뒤에 오는 수사들에 부담감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역 이기주의 현상도 이 영화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흔히 장애인 시설이나 쓰레기 소각장, 장례식장 등 자신의 마을이나 아파트 주변에 들어오는 것을 극히 혐오하는 주민들이 많습니다. 해당 시설이 들어오지 않게 하려고 데모를 하고 온 몸으로 막아섭니다. 미관상 좋지 않다는 것과 집값이 떨어진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영화 "목격자"에서도 살인사건이 일어났는데 피해자에 대한 걱정과 범죄자를 빨리 찾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것이 아니라 이 사건이 뉴스나 인터넷에 퍼지지 않고 조용히 지나가길 바라는 주민들의 모습에서 지역이기주의 현상이 드러납니다. 이 방관자효과와 지역이기주의는 우리 삶에서 흔히 볼수 있는 거라 공감이 가는 부분이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