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 끝이 저린 경우
1. 손목터널 증후군
엄지에서 중지까지의 손가락 끝이 저린 경우 손목터널 증후군과 목디스크가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의 경우 첫 번째부터 세 번째 손가락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붓거나 눌려 손끝이 저리게 됩니다. 전기가 오는 것처럼 찌릿찌릿하고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물건을 자꾸 놓치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또 심한 날에는 손이 타는듯한 통증으로 잠에서 깨는 경우도 있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의 경우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에게서 많이 보이는 증상입니다. 손을 많이 사용하는 일을 하시거나 취미를 가지신 분들이 신경 압박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을 자주하고 손목 사용을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손목터널 증후군에 좋은 간단한 스트레칭 법
바닥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깍지를 낀 후 손바닥을 바닥에 닿게 한 후 바깥으로 돌려서 바닥에 닿게 합니다. 손목이 유연하지 않을 경우 바깥으로 돌려서 손바닥을 땅에 닿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무리하지 않고 가능한 만큼만 스트레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목디스크
목디스크의 경우 목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에 손상이 생겨 팔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하거나 자극할때 문제가 생깁니다. 압박 위치에 따라 어깨, 손, 전완까지 저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팔과 손에 나타나는 저림 현상의 경우 목디스크의 가능성도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손 저림 외에 팔힘이 빠지는 증상, 두통, 이명, 현기증이 동반이 된다면 목디스크일 확률이 높습니다. 일자목의 경우 목이 펴지면서 혈관을 누르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뇌로 가는 혈액이 순환을 잘 못하게 되고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두통, 현기증, 어지럼증, 이명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또 디스크의 수핵이 나오면서 척수가 눌리면 팔의 힘이 빠지게 되는데 정도에 따라 팔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마비되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 목디스크 원인
목디스크의 원인으로 크게 거북목, 일자목이 원인이 되는 퇴행성 변화, 사고나 부상으로 인한 편타성손상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 퇴행성 변화
퇴행성 변화는 안좋은 자세로 오랜 시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하는 경우 거북목처럼 변형되는 질환입니다. 일자목과 거북목은 만성이 되면 목디스크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퇴행성 변화로 인한 목디스크를 가지신 분들은 목을 쭉 빼고 컴퓨터를 장기간 일하는 습관, 한쪽으로만 물건을 드는 습관, 높이가 맞지 않는 배게를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신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 편타성 손상
사고, 낙상,스포츠 활동 중 부상 등으로 인해 편타성 손상으로 목디스크에 걸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사고가 나면 경추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경추 디스크가 빠져나와 통증을 일으킵니다.
4번째, 5번째 손가락 끝이 저린 경우
1. 팔꿈치터널 증후군
2. 철골관 증후군
3. 목디스크
4번째와 5번째 손가락 끝이 저린 경우 가장 높은 원인으로는 팔꿈치 터널 증후군을 들 수 있습니다. 팔꿈치 부위에 문제가 생겨 척주 신경이 눌리면 팔꿈치에서 다섯 번째 손가락으로 저림과 찌릿한 통증이 퍼져나가게 되는데 이를 팔꿈치 굴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팔꿈치 굴 증후군의 경우 어릴 적 팔꿈치 골절로 정상인에 비해 팔꿈치가 휘어 자랐을 때 신경이 늘어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지나친 운동과 과도한 업무로 손가락으로 가는 신경이 근육과 힘줄에 압박을 받으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손바닥의 새끼손가락에서 신경이 압박되어 생기는 척골관 증후군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넘어질 때 손을 짚으면서 골절이 미세하게 발생해 신경자극으로 이어지거나 손을 많이 사용하는 업무를 하는 경우 신경 압박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전체가 저린경우
1. 약물 부작용
2. 당뇨병성 신경병증
3. 혈액순환 문제
손가락 전체에 통증, 저림, 시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약물 부작용, 당뇨병으로 인한 질병, 혈액순환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 진행되면 신경에 미세하게 손상이 오기 시작하는데 심해지면 신경이 망가져 감각을 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습니다.